-나눔펜 글씨체- -블랙한산스 -구글애드센스-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주아빠에요

투자에 필요한 기본, 그 중에서도 전자공시를 읽는 방법을 하나씩 소개해드리고 있어요

오늘은 그 첫 번째로 판매ㆍ공급계약을 읽는 법을 같이 살펴볼게요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예시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기업이 재화나 서비스를 판매(공급)할 때 발표하는 공시에요

 

 

다만 모든 판매건에 대해서 강제적으로 발표해야 하는 건 아니고

기업이 속한 주식시장에 따라, 그리고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른 기준이 적용되요

 

 

 

 

위의 표에서 의무공시와 자율공시의 기준을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어요

그러면 실제로 그런지 한번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사례 분석 1. 코스닥_의무공시

 

 

 

 

엑시콘이라는 반도체 장비종목의 공시에요

종목명 앞에 '코'라고 적힌 건 코스닥을 의미하는 거 아시죠?

그리고 보고서명 끝에 자율공시라는 표시가 없다는 건 의무공시라는 걸 의미하죠

즉 직전 사업연도 연간 매출액 대비 10% 이상의 계약 건이라는 거죠

한번 열어서 살펴볼까요?

 

 

 

 

최근 매출액이 670억인데 삼성전자와의 계약 금액이 106억이라

매출액 대비 15% 정도의 계약인 관계로 의무공시 대상이 맞네요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사례 분석 2. 코스피(대기업)_의무공시

 

 

 

이번에는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 속해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공시에요

대규모법인여부는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여부를 의미하는데 이 기업의 경우 해당하는 기업이네요

즉 매출액 대비 2.5% 이상 계약 체결 건은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되요

 

Lundbeck과의 계약은 직전 연도 매출액 대비 2.75%에 해당함으로

자율공시가 아니라 의무공시로 진행하였네요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사례 분석 3. 코스피_자율공시

 

 

마지막 사례에요

유가증권시장에 속한 한미반도체라는 기업의 공시에요

직전 매출액 대비 4.58% 규모의 계약이지만 대규모법인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자율공시로 발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자산총액 2조원 미만의 유가증권시장 기업들은 직전 매출액 대비

5% 이상의 계약에 대해서만 공시 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이에요

 

공시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율적으로 공시를 했다는 건

주가를 관리하고 있으며 주주친화적인 기업이라는 걸 의미하겠죠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 주의사항

 

보통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의무공시가 나오게 되면

시장에서는 호재로 인식을 해요

그만큼 큰 비중의 신규매출이 발생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런 공시를 가지고 장난질을 쳐서 주가를 인위적으로 높이는 경우들도 있어요

 

그래서 요 두 가지는 꼭 확인하면서 읽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1. 기재정정 공시는 반드시 확인할 것

 

 

기재정정 공시란 기존에 발표한 공시의 내용을 수정하는 공시를 의미해요

처음에는 매출액 대비 50% 계약을 수주했다고 발표해놓고

나중에 가서 사실은 매출액 대비 10% 계약이었다 라고 규모를 축소하는 경우가 있어요

 

위의 예시는 반대로 기존 발표보다 수주 규모가 증가함으로 인해 발생한 기재정정 공시에요

이 경우는 오히려 더 좋은 발표라고 볼 수 있겠죠

 

실제로 수주 규모를 속이고 발표한 이후 나중에 기재정정을 통해 축소하는 기업들도 있다고 하니

기재정정 발표에는 항상 주의를 하셔야 할 것 같아요

 

 

 

2. 공급계약 기간이 얼마나 긴지 확인할 것

 

 

 

동일한 기업에서 발표한 2건의 공급계약 공시에요

금액만 보면 위 쪽의 공시가 40억 가까이 큰 공시지만

계약기간을 살펴보면 위의 공시는 10년, 아래 공시는 3년간의 계약이에요

 

즉 1년 동안 평균 어느 정도 매출이 발생하는 공시인지 살펴보면

아래 공시가 연간 매출에 기여하는 부분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위쪽 공시: 230억/10년 = 23억/1년

아래 공시: 180억/3년 = 60억/1년

 

단일판매, 공급계약체결 공시를 살펴보실 때는

항상 계약기간도 같이 살펴보셔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셔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주아빠에요
투자에 필요한 기본, 그 중에서도 재무제표를 읽는 법을 하나씩 소개해드리고 있어요
오늘은 그 두 번째로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많이 헷갈려 하시는
자산, 부채, 자본의 3개념을 실제 재무제표를 보면서 알려드릴게요


 

1. 재무상태표

 

이전 포스팅에서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5대 요소가 무엇인지 설명드렸었어요

 

[재무제표 읽어보기 #01] 재무제표, 너의 정체가 뭐니?

안녕하세요, 유주아빠에요 투자에 필요한 기본,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에 대해서 하나씩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오늘은 재무제표가 뭔지, 그리고 그 구성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명

jjmin99.tistory.com



그 중에서 자산, 부채, 자본의 개념은 재무상태표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그래서 재무상태표에 대해서 먼저 간단히 알려드릴게요



재무상태표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기업의 재무상태를 보여주는 표에요
여기서 중요한 건 특.정.시.점 이에요

인바디 Inbody 검사 해보신 적 있으세요?
검사를 하는 그 시점 기준으로 근육량이나 체지방량 등을 분석해주는 검사에요
그것처럼 재무상태표는 그 시점 기준으로 기업의 재무상태가 어떤지를 정리하는 표에요

이 표를 통해서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적 탄력성, 기업의 수익성과 위험요인들을 알 수 있어요


 

2. 자산, 부채, 자본

 

자, 이제 오늘의 메인 주제인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재무상태표에서도 자산, 부채, 자본을 구분해서 표기하고 있어요

세부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기억해야 할 하나의 원칙!



바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과 언제나 같다는 거에요
왜 그런지는 하나씩 살펴보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실 거에요

 

 


 

 


자산이란 그 기업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모든 유무형의 가치물을 의미해요
'너 뭘 가지고 있어?'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은 항상 위에 있어요
그리고 재무제표에서는 2020년, 2021년이라고 기록하지 않고
기업이 설립된 해를 기준으로 몇 번째 회계기록인지를 기록하네요
(제44기, 제43기 등)

자산은 보통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크게 분류해요
기업이 가진 가치물 중에 1년안에 현금화 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해요

 

 

 


 

 

자산이 '너 뭘 가지고 있어?' 에 대한 답이라고 이야기 드렸었죠?
이제부터 살펴볼 부채와 자본은 '그거 어떻게 가지게 된거야?'에 대한 답이라고 이해하시면 되요
즉 어디서 자금을 조달했는지에 대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채란 타인에게 갚아야 할 빚을 의미해요
자산 중에서 부채만큼은 남의 돈을 빌려서 얻었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죠

 



부채는 자산 다음에 위치하는데 자산과 동일하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해요
당연히 그 기준도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는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비유동부채는 그 이상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부채에요

부채는 그 기업의 돈이 아니라 언젠가는 갚아야 하는 돈이기 때문에
많으면 많을수록, 비중이 높으면 높을수록 안 좋은 거라고 이해하면 되요

 

 


 

 

 

자본, 정확히 말하면 자기자본은 내 돈을 의미해요
자산을 얻는데 있어서 내 돈을 가지고 얻은 부분을 의미하죠

 

 

 

 

자본은 자산이나 부채에 비해서는 구성항목이 간단해요
자본금이랑 회사의 주식수 x 발행 액면가 금액이,
자본잉여금이랑 주식 발행 시 액면가를 초과하는 금액이,
그리고 이익잉여금은 당기순이익에서 배당을 제외하고도 남은 금액을 의미해요

 

 

 

 

 

 

3. 자산, 부채, 자본 개념을 이용한 분석 예시

 

이렇게 개념만 알고 넘어가면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지 막막하시죠?
요렇게 사용하시면 된다는 예시도 하나 짚고 넘어갈게요

우선 기본적으로 분석은 이전 시기와 이번 시기를 살펴보시면 좋아요
그럼 위에서 살펴본 예시 기업(더존비즈온)의 자산 현황을 살펴볼게요

 



일부러 좀 극단적으로 보이는 예시를 가져오긴 했는데 그래야 극적으로 보이니까 감안하고 봐주세요
자산 총계가 42기에서 43기로 넘어오면서 4500억 이상 증가한 걸 보실 수 있어요
회사 전체 자산규모가 2배 가까이 증가한 엄청난 변화네요

그럼 이제 세부내용으로 들어가서 어디서 변화가 생겼는지 확인해보면 되요
유동자산은 500억 정도 감소한 반면에 비유동자산은 5000억이 증가하면서 순자산이 4500억 변화했네요
유동자산은 빠르게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들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비유동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유동자산을 사용했다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럼 비유동자산 중에서도 어디서 급격한 증가가 발생했나요?
바로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부분이에요
유형자산은 2500억, 투자부동산도 2300억 정도 증가한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주석을 통해서 세부내용까지도 확인 가능하지만 이 쯤에서 뭘 산거지? 싶은 생각에 검색을 해봤어요

그랬더니 이런 기사가 딱 보이네요

 

 

아이투자

부영을지빌딩(삼성화재 옛 을지로사옥)이 회계 및 클라우드 전문회사인 더존비즈온에 약 4500억원에 매각됐다.13일 더존비즈온은 공시를 통해 부영을지빌딩(서울 중구 을지로 1가 87번지)의 토지

www.itooza.com



더본비즈온은 본사가 강원도 춘천에 있는 관계로 고객들의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2019년에 서울에 사옥 건물을 매입했더라구요
그렇게 구입한 사옥의 가치가 반영되어 2019년도 재무상태표에는 자산이 크게 증가한 거였구요

자 여기서 멈추면 안되고 그 매입대금은 어떻게 구했지? 라는 질문을 하셔야 되요
부채와 자본을 살펴보면 되겠군요

 



먼저 부채를 살펴보니 딱 봐도 한 눈에 보이는 게 있어요
바로 2500억의 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이란 말 그대로 장기간 동안 빌리기로 한 대출금을 의미해요
4500억 정도의 매입 대금 중 2500억은 외부로 부터 대출을 받아서 충당한 걸로 보이네요

 



자본도 1800억 가까이 증가했어요
그 중에서 19년도에 수익으로 인해 증가한 이익잉여금이 350억 정도
그리고 나머지는 신규 주식을 발행하면서 자본금이 10억, 자본잉여금이 1500억 증가했네요

요약하면 19년도에 더존비즈온의 자산 증가는 서울에 사옥 건물을 취득함으로 인한 것인데
건물 취득을 위한 대금은 장기 대출로 2500억, 주식 추가 발행으로 1500억을 확보했고
나머지 500억 정도는 가지고 있던 현금으로 대응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요렇게 자산, 부채, 자본의 개념을 이용해서 그 회사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분석해 볼 수 있다는 사실!
투자하시는 종목의 재무제표를 살펴보시며 해당 개념을 이용해보는 연습을 해보셔요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주아빠에요

투자에 필요한 기본,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에 대해서 하나씩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오늘은 재무제표가 뭔지, 그리고 그 구성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명드릴게요

 

 

 

1.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

 

투자자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재무제표란 놈

사실 투자하시면서 안들어보셨다면 그게 더 이상하지 않을까요?

요즘 재테크에 대한 관심으로 엄청나게 많은 책들에서도 재무제표를 다루고 있는데

정작 나 자신은 그 개념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계신가요?

 

 

 

Yes24

 

 

 

우선 재무제표란 영어로 Financial Statement, 즉 재무상태(Financial)에 대한 진술서(Statement)에요

기업이 스스로의 재무상태에 대해서 보고하는 서류라고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재무제표에는 재고현황, 매출현황, 세부 비용 내역 등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야 하는데

그 자료를 작성하기 위해서 엄청난 수고가 들어갈 것 같거든요

그런 번거로움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왜 재무제표를 발표하는 걸까요?

 

사실 기업 입장에서는 재무제표를 매분기, 매반기, 매년마다 보고하고 싶지 않을 거에요

다만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재무제표 발표를 법으로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발표할 수 밖에 없는거죠

 

 

 

 

 

바로 해당 기업에 투자한, 또는 투자할 계획이 있는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정보제공을 하기 위해서에요

투자를 할 때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외부 투자자가 가진 정보에는 엄청난 비대칭이 있을 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적어도 재무제표만큼은 투자자들에게 공개해서 그 정보를 가지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라는 의미인 거죠

 

이렇게 적어놓고 보니 재무제표도 안보고 투자하게 되면

그냥 아무 종목이나 찍어서 하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겠네요

 

 

 

 

 

 

2.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재무제표란 하나의 서류를 말하는 게 아니라

기업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서류들을 합친 개념이에요

 

보통 5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있다고 이야기하는 데 아래와 같아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개별 기업의 재무상태를 다른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어서

하나씩 다 살펴볼 필요는 있어요

다만 하나의 포스팅에서 다루기에는 내용이 너무 길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추후에 나눠서 살펴보도록 할게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재무상태표의 가장 기본 개념인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반응형

+ Recent posts